우울증 환자 100만명 넘었다, 여성 환자 2배 이상!!
마음의 건강 문제인 우울증 환자가 우리나라에서 100만 명을 넘어섰다는 소식이 도래했습니다. 이 중에서 여성 환자는 남성 환자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상황으로, 이로 인해 정신건강 복지서비스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남인순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입수한 '최근 5년간(2018∼2022년) 우울증 진료 인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인원이 100만744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에는 75만2976명, 2019년에는 79만911명, 2020년에는 83만2378명, 2021년에는 91만5298명으로 연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022년에 진료받은 우울증 환자 중 여성 환자는 67만4555명으로 남성 환자 32만6189명보다 2배 이상 많았습니다.
나이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18만5942명(18.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30대 16만108명(16%), 60대 14만3090명(14.3%), 40대 14만2086명(14.2%), 50대 12만6453명(12.6%), 70대 11만883명(11.1%), 80대 이상 7만121명(7.1%) 등이었습니다.
2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12만1534명(12.1%)로 집계되었습니다.
5년간 가장 뚜렷하게 증가한 환자 그룹은 20대 여성 환자로, 2018년 5만7696명에서 2022년 12만1534명으로 두 배 이상(110.65%) 급증했습니다.
남인순 의원은 "한국 사회에서는 스트레스와 불안과 같은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다방면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우울증은 조기에 치료하면 호전되는 만큼, 우울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울증은 감정 및 불안과 관련된 극단적인 생각, 잠을 제대로 못 자는 문제, 입맛 감소, 무기력증 등과 같은 증상을 동반합니다. 계절성 요인도 영향을 미치며, 가을철에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며, 해가 뜨는 시간에 30분 이상 걷거나 녹색 채소, 과일 및 견과류를 섭취하고 숙면을 방해하는 음주를 줄이는 것이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우울증에 대한 인식과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정신 건강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시점인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