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 IT Tech

네이버 지식인 챗GPT로 골머리..

고칼슘 2023. 10. 11. 12:52
반응형

네이버의 지식iN 서비스가 최근 생성형 AI, 특히 챗GPT를 활용한 '양산형 답변'으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지식iN의 전문가들과 일반 사용자들은 이러한 생성형 AI로 인해 박탈감을 느끼고 있으며, 서비스의 질적 하락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부터, 지식iN에는 챗GPT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량의 답변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답변들은 순번이 붙어 있거나 여러 질문글에 동일한 답변을 복사 붙여넣는 경우도 흔히 발견됩니다. 그러나 생성형 AI의 단점 중 하나인 '할루시네이션'도 함께 나타나고 있어, 사용자들이 부정확하거나 오류가 있는 정보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중 한 명은 "지식iN은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곳으로, 생성형 AI가 만든 엉성한 답변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실제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과 관련된 문제도 생기고 있다"고 언급하며 걱정을 나타냈습니다. 또한, 지식iN의 고수들은 자발적인 노력으로 '내공'을 얻어 ''으로 등극하기까지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는데, 이러한 노력이 생성형 AI에 의해 상쇄될 우려가 있습니다.

 

지식iN 2002년에 시작된 이래 많은 사용자들에게 이용되어 왔고, 사용자들 간의 자발적인 지식 공유의 플랫폼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단기간 내에 ''으로 등극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글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식iN에 애정을 가지고 활동하던 사용자들이 밀려나고 있으며,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우려됩니다.

 

네이버는 이 문제를 인식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내부 시스템을 통해 본인 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매크로 방지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생성형 AI에 의한 부정확한 답변들을 억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식iN은 사용자가 우수한 답변을 선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단순히 생성형 AI 답변을 복사해 붙여넣는 것이 우수한 답변으로 선정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양산형 답변을 생성하고 내공을 쉽게 모으는 사용자들과 고수들로부터 어뷰징 답변을 받으면서 기존 내공을 박탈하는 것에 대한 염려를 표현하며, 이에 대한 강력한 대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식iN이 챗GPT와 같은 AI를 오용하는 문제를 방지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