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결혼을 망설이는 주요 이유, '자금 부족'이 1위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에 따르면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청년 비율이 10년 전보다 20%포인트 이상 줄어들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21년 5월 기준으로,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은 전체 청년 인구의 36.4%로, 2012년의 56.5%에 비해 20.1%p 감소한 수치였다. 이는 전체 인구 중에서 결혼에 긍정적인 비율(50.0%)보다 13.6%p 낮은 수준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10년 전과 비교해 긍정적인 생각 비율이 18.9%p 하락한 28.0%, 남성도 22.3%p 하락한 43.8%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9∼24세의 34.0%, 25∼29세의 36.1%, 30∼34세의 39.2%가 결혼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청년들은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큰 결혼 장벽으로 꼽았으며,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만남 어려움(9.7%) 등의 이유로 결혼을 주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자금 부족을 이유로 꼽은 이들 중에서는 남성(40.9%)의 비율이 여성(26.4%)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놀랍게도,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해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8년의 46.4%에 비해 2020년 50.5%, 작년 53.5%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가족 구성에 대한 관점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자신과 부모 간의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청년과 전체 가족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청년은 결혼 후에도 자녀를 갖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청년들은 이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10년 전보다 11%p 증가한 24.1%로 나타났다. 또한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비율도 10년 전보다 9.8%p 상승한 39.6%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가까운 미래에 직장을 잃거나 바꿔야 할 불안감을 느끼는 청년 비율은 54.8%로 조사되었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8.0%p 감소한 수치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로 보아 청년들의 결혼 및 가족관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부담스럽고 불확실한 경제 환경과 사회적 변화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정책적인 고려와 지원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