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혁신적인 검색 서비스 '큐:'(CUE:)를 공개하였습니다. 이 서비스는 복잡한 질문에도 뛰어난 이해력을 바탕으로 사용자 의도를 파악하고 검색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네이버의 '큐:'는 초대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 분야에 접목한 결과물로,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와는 다른 캐릭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Cue:
새로운 네이버 AI 검색 Cue: 네이버 검색은 사용자에게 최상의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네이버의 AI 기술이 집약된 Cue:를 통해 새로운 검색 경험을 선보이
cue.search.naver.com
이번 '큐:' 서비스는 검색 과정을 구조화하고 답변 신뢰도를 높이는 '멀티-스텝 리즈닝' 기술을 적용하였습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일회성 답변에만 의존하지 않고 '더 보기', '후속 질문' 등을 통해 추가 정보를 탐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큐:'를 사용한 테스트 결과, 사용자의 추가 검색 요청에 AI가 신속하게 응답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초거대 AI와 생성형 AI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 '큐:'는 AI의 규모, 학습 방법, 사용 목적, 성능 등을 한눈에 제시하는 답변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일반적인 백과사전식 검색 결과와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큐:'는 제품 추천 분야에서도 뛰어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가 "84제곱미터 주방에 놓을 가격 대비 성능 좋은 냉장고를 추천해 달라"는 질문을 하면 '큐:'는 3가지 제품을 추천하고 추가적인 질문을 통해 물건을 비교하고 구매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는 네이버 쇼핑 추천 카테고리와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다만, '큐:'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비행기표 저렴한 도시에 대한 질문에 '큐:'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답변을 제공하지만, 사용자에게 항공권 가격 비교 사이트로 안내하는 단계로 한정되었습니다.
네이버는 베타 서비스 기간 동안 '큐:'의 품질을 개선하고 기능을 확장할 예정이며, 더불어 통합 검색 서비스와의 접목을 통해 네이버의 종합적인 서비스 품질을 높일 계획입니다. 이로써 네이버는 구글과의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대기 명단을 등록하여 승인을 받아야합니다.
'컴퓨터 & IT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 음성 및 이미지 인식 기능 추가로 AI 경쟁 격화 (0) | 2023.09.27 |
---|---|
테슬라, 진화된 버전 '옵티머스' 로봇 공개 (0) | 2023.09.26 |
오픈AI, 이미지 생성 AI '달리 3' 공개 (0) | 2023.09.22 |
아마존, AI 기반 음성 비서 '알렉사'에 생성AI ChatGPT와 경쟁예고 (0) | 2023.09.21 |
폴더블폰: 스마트폰 시장의 게임 체인저?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