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은 그 증상을 감지하기 어려워 무서운 암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그런데 췌장암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만성위축성 위염이 언급되면서, 췌장염과 췌장암 간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췌장염은 췌장 내부에 염증이 발생하는 소화기 및 내분비기관 질환입니다. 급성 췌장염과 만성 췌장염으로 구분되며, 급성 췌장염은 갑작스러운 복통, 옆구리와 등의 심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이런 통증은 눕는 것이나 등을 구부리는 것으로 인해 변화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장의 움직임이 줄어들어 구토, 복부 팽만 등과 함께 나타납니다.
급성 췌장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담석과 과도한 음주가 있습니다. 알코올은 췌장 내의 소화 효소 활성화와 췌장 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담석은 췌액의 흐름을 막거나 역류시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급성 췌장염이 췌장암으로 진화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대한소화기학회도 이 두 질환 간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만성 췌장염인데, 이는 급성 췌장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발생합니다. 만성 췌장염은 췌장 세포를 파괴하며 소화 기능과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또한, 췌장 조직의 괴사로 인해 췌액 내의 단백질 양이 증가하고 점도가 높아집니다. 이런 상황에서 형성된 덩어리가 췌관을 막아 췌장의 세포 손상과 섬유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의 약 4%는 만성 췌장염이 원인이 됩니다.
만성 췌장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장기간 및 빈번한 음주입니다. 술을 얼마나 자주 마시느냐보다 하루 평균 얼마나 마시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한 번 술을 마셨다면 췌장에 끼칠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최소한 3일 동안 술을 끊어야 합니다. 이러한 습관은 췌장 건강을 지키고, 췌장암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저와 제 주변에도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들이 많은데, 술을 적당히 해야 할 것 같네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청소년 비만, 올바른 체중 관리법은? (12) | 2023.10.17 |
---|---|
건강한 단맛은 과연 있을까? 당분의 진실. (22) | 2023.10.16 |
당뇨병 환자 근력운동 반드시 필요. (2) | 2023.10.14 |
피부암과 점의 차이점은? (0) | 2023.10.13 |
발목 불안정증: 예방과 초기 관리가 중요한 이유 (0) | 2023.10.13 |